재외동포청이 저출생·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으로 재외동포 청년 유치에 나선다. 내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재외동포 인재를 국내로 유치하고 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하는 것. 부처별로 흩어져 있던 사할린·입양 동포 지원 사업도 동포청으로 통합해 동포정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본격화한다.
재외동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6년도 예산안(1092억 원)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4일 밝혔다. 금년 예산보다 21억 원(2%) 증액된 규모다. 정부의 재정 긴축 기조 속에서도 미래 인재 확보와 동포 사회 지원이라는 핵심 과제에 투자를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동포 청년 유치에 31억 배정
내년 예산안의 특징으로는 신규 편성된 ‘해외 동포청년 유치·정착 지원 사업’(31억 원)이 꼽힌다. 정부가 동포 청년 유치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국내에서 학업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동포 대학(원)생에게는 장학금을, 취업 준비생에게는 교육 훈련비를 지원한다.
재외동포청 관계자는 “국내 저출생·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국가 인재정책 대상을 차세대 동포로 특정한 첫 사례”라며 “해외 동포 청년을 대한민국 발전의 전략적 동반자로 육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사할린·입양 동포 지원, 동포청으로 통합
그간 보건복지부 소관이던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정착 지원(77억 원)과 입양동포 단체 지원(1억 원) 예산은 내년부터 동포청으로 이관된다. 일제 때 강제동원의 아픔을 간직한 사할린 동포와 해외 입양 동포 지원 창구를 동포청으로 일원화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이로써 동포청의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이 본격화됐다.
이 밖에 차세대 정체성 교육을 위해 전 세계 한글학교 지원 예산을 올해보다 9억 원 증액한 195억 원으로 편성했다. 또한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관제센터 신설 예산(27억 원)도 신규 편성됐다. 정부 예산안은 국회 심사와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서울=이민호]
|